한국48 신라에서 발견된 경교 십자가- 동방의 실크로드를 거쳐온 기독교의 흔적 신라에서 발견된 경교 십자가: 동방의 실크로드를 거쳐온 기독교의 흔적– 고대 한국에 전해진 초창기 기독교의 역사 –1. 경교(景敎)란 무엇인가?경교는 기독교의 한 분파인 네스토리우스파(Nestorianism)로,서기 5세기경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였던 네스토리우스(Nestorius)의 가르침에서 시작되었습니다.이 가르침은 431년 에베소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고,이후 네스토리우스를 따르던 이들은 동쪽으로 이주해 페르시아, 중앙아시아, 중국을 거쳐동아시아 전역에 퍼지게 됩니다.중국에서는 635년 당나라 태종 때 정식으로 받아들여졌고,이를 경교(景敎)라 부릅니다. 한자로는 "밝은 가르침"이라는 의미예요.2. 신라에서 발견된 경교의 십자가 – 유물로 본 전파의 흔적 대표 유물: 경주 괘릉 출토 은제.. 2025. 4. 21. 사라진 명장 을지문덕과 살수대첩 을지문덕(乙支文德)은 고구려의 대표적인 명장으로,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 사이에 활동했습니다. 특히 수나라의 침공을 막은 '살수대첩'(612년)으로 유명하며, 한국 고대사에서 가장 뛰어난 전략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습니다. 아래에서 그의 생애와 업적을 자세히 살펴볼게요.1. 생애 개요이름: 을지문덕 (乙支文德)활동 시기: 고구려 제26대 영양왕(재위 590~618년) 때 활약출신: 정확한 출신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고구려의 귀족 혹은 고위 관료 집안 출신으로 추정관직: ‘대대로(大對盧)’ 혹은 ‘을지(乙支)’는 성 또는 관직명으로 보며, 명칭 자체가 지위를 의미했다는 설도 있음2. 살수대첩 (612년) 가. 수나라의 대규모 침공 개시 (612년 음력 3월~5월)수 양제는 약 113만 대군을 이끌고 고.. 2025. 4. 16. 계룡산 천도 무산과 정도전 계룡산은 충청남도 공주, 논산, 계룡시에 걸쳐 있는 명산으로, 풍수지리적으로 예로부터 천하의 명당이라 불려왔습니다. 이곳은 단순한 자연 명소를 넘어서, 조선 개국과 깊이 관련된 전설과 역사적 사건을 품고 있는 곳이기도 하죠. 특히 조선 건국의 핵심 인물 정도전, 그리고 태조 이성계의 천도 구상과 관련된 전설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합니다.아래에서 계룡산 천도 전설과 정도전의 이야기를 자세히 풀어볼게요.1. 계룡산, 천하의 명당계룡산(845m)은 한반도의 금강산, 지리산과 함께 삼신산으로 불릴 만큼 영험한 기운이 깃든 산으로 여겨졌습니다. 이름 그대로 용(龍)의 형국을 가진 산인데, 산줄기가 말(馬) 형상의 갑사 쪽에서 시작하여 용이 여의주를 물고 하늘로 승천하는 형상을 이룹니다. 그래서 '계.. 2025. 4. 13. 조선의 금서 "설공찬전" 조선의 금서, 『설공찬전』: 귀신 이야기로 본 조선의 사회 비판『설공찬전』은 조선 최초의 금서(禁書)로 알려진 한문소설입니다. 저자는 중종11년 채수가 지은 고전소설로, 이 작품은 단순한 귀신 이야기를 넘어 현실 정치와 사회 질서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고 있어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1. 설공찬전의 줄거리 요약전라북도 순창에 사는 설충란의 아들 설공찬은 문장에 능했지만 병으로 요절합니다. 아버지는 아들을 애도하며 삼년상을 마친 뒤 무덤 옆에 신주를 묻습니다.이후 설공찬의 혼령이 사촌 설공침에게 빙의되면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설공찬은 빙의된 상태에서 저승의 모습을 전하며, 죽은 자의 심판, 염라왕의 권위, 이승과 저승의 상관관계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특히 저승에서는 이승의 덕행과 죄악에 따라 지위가 .. 2025. 4. 12. 설악산 "울산바위" 전설 설악산 울산바위 전설, 그 신비한 이야기울산바위 전설은 설악산을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흥미로운 이야기거리를 제공합니다. 그 독특한 이름과 거대한 규모를 가진 이 바위에는 옛사람들이 전해온 재미있고도 교훈적인 전설이 숨어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울산바위의 유래와 대표적인 전설 두 가지를 소개하며, 그 속에 담긴 지혜와 상상력을 되짚어보려 합니다. 1. 울산바위란?울산바위는 강원도 속초에 위치한 설악산의 명승지 중 하나로, 해발 약 873m에 달하는 거대한 암석 지형입니다. 6개의 봉우리가 연속으로 솟아 있으며 마치 울산(蔚山)에서 옮겨온 것처럼 보여 '울산바위'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러나 진짜 이름의 유래는 전설 속에 숨어 있죠.2. 울산바위 전설 ( 금강산 못 간 바위 이야기)가장 널리 알려진 울산바.. 2025. 4. 10. 백운산이 품은 세 가지 정기 - 누가 돼지의 복을 가질 것인가? 광양 백운산, 아직 완성되지 않은 세 가지 정기-누가 돼지의 복을 가질 것인가전라남도 광양의 웅장한 산세를 자랑하는 백운산(白雲山). 이 산은 단지 수려한 자연경관만으로 주목받는 것이 아닙니다. 이곳에는 오랜 세월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온 신비로운 전설이 깃들어 있습니다. 백운산은 과거 ‘백계산(白鷄山)’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그 지명과 전설은 시간 속에서 변화해 왔습니다.오늘은 광양 백운산에 전해지는 세 가지 영험한 정기, 그리고 지명 변화의 이야기, 나아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는 마지막 하나의 정기(돼지의 복)를 찾아 미래의 전설까지 함께 들여다보겠습니다. 1. 광양 백운산, 원래 이름은 백계산이었다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백운산’이라는 이름은 사실 "역사적으로는 ‘백계산(白鷄山)’"이라 불렸습.. 2025. 4. 9.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