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백제 금동대향로 속 상상의 동물들: 고대 예술에 깃든 신비한 상상력
백제 금동대향로에는 상상의 동물들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습니다. 봉황, 용, 기린 등 금동대향로에 등장하는 환상적 동물들의 의미와 상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백제 금동대향로란?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는 1993년 충청남도 부여군 능산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국보 제287호 유물로, 백제의 뛰어난 금속 공예 기술과 예술 감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 전체 높이: 약 61.8cm
- 재질: 금동
- 용도: 향을 피우기 위한 종교적 의기(儀器)
- 특징: 산봉우리, 구름, 동물, 인물 등이 입체적으로 조각됨
이 향로는 단순한 향 피우는 도구를 넘어, 백제인의 세계관과 상상력을 집대성한 상징적 예술품입니다.
2. 향로 속 상상의 동물들
백제 금동대향로에는 실존하지 않는 환상적 동물들, 즉 상상의 동물(환수, 幻獸)이 다수 등장합니다. 이들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신화적 의미와 상징을 담고 있어 매우 중요한 해석 요소입니다.
가. 봉황 (鳳凰)
1) 천상의 신조(神鳥)
- 향로 꼭대기에는 날개를 편 봉황 한 마리가 좌우로 고개를 돌리며 앉아 있습니다.
- 봉황은 군왕의 덕을 상징하는 상서로운 존재로, 천자(天子)의 통치가 하늘의 뜻과 조화를 이룰 때 나타난다고 전해집니다.
2) 상징 의미
- 왕권의 정당성, 평화로운 세상, 백제 왕실의 이상적인 통치 철학을 나타냄
나. 용 (龍)
1) 구름 속에서 드러나는 신수(神獸)
- 향로 몸체 곳곳에 용이 구름을 타고 돌아다니거나, 산봉우리 사이를 오가는 모습으로 조각되어 있습니다.
- 용은 동아시아 문화에서 물, 비, 구름, 천상의 존재로 여겨지며, 풍요와 번영, 생명의 근원을 상징합니다.
2) 상징 의미
- 왕권의 수호자, 자연과 인간의 조화, 신성과 영물의 보호
다. 기린 (麒麟)
1) 현현하는 성스러운 짐승
- 기린은 용의 몸, 소의 다리, 말의 갈기, 사슴의 뿔 등을 결합한 상상의 동물로, 온화하고 정의로운 존재입니다.
- 향로 측면에 길고 우아한 몸매를 가진 기린상이 포착됩니다.
2) 상징 의미
- 성인의 출현, 태평성대의 도래, 백제의 이상국 건설을 향한 염원
라. 상상의 혼합 동물들
- 명확한 명칭은 없지만, 금동대향로에는 여러 동물의 특징을 결합한 존재들도 보입니다.
- 예: 사자의 몸에 용의 머리, 새의 날개를 지닌 포유류형 동물
- 이들은 불교와 도교적 세계관이 혼합된 결과로, 현실 세계와 신선 세계(仙界)를 연결하는 매개체로 해석됩니다.
3. 상상의 동물이 담긴 예술적 의미
가. 불교적 세계관
- 향로 전체는 불교에서 말하는 수미산과 사바 세계, 천상계를 상징
- 상상의 동물들은 이 신성한 공간을 수호하며, 불법(佛法)의 전파와 중생 구제를 도와주는 존재
나. 백제인의 미의식과 상상력
-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기하학적 조화, 유려한 선, 세밀한 조각 기술이 총집결됨
- 상상의 동물은 현실을 초월한 세계를 시각화한 도상으로, 당시 백제의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보여줌
결론: 백제 금동대향로는 예술과 신앙, 상상의 결합체
백제 금동대향로 속 상상의 동물들은 단순한 환상이 아닌, 백제인의 사상, 신앙, 왕권 이념, 미적 감각을 담은 상징체입니다. 봉황은 이상적 군주의 표상, 용은 자연과 권위의 상징, 기린은 평화와 성인의 도래를 나타내며, 모든 존재들이 조화를 이루는 이상세계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신비를 간직한 예술품, 백제 금동대향로 — 발굴 과정과 세계 유물과의 비교
신비를 간직한 예술품, 백제 금동대향로 — 발굴 과정과 세계 유물과의 비교고대 왕국 백제의 찬란한 미의식과 종교적 세계관을 압축한 보물, ‘금동대향로(金銅大香爐)’는 1993년 충남 부여 능
thelegendaryage.tistory.com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묘족은 치우의 후손인가? 고구려의 후예인가? (1) | 2025.05.21 |
---|---|
한국 전설 속 여성 귀신 vs 일본 여성 요괴: 문화와 공포의 차이 (4) | 2025.05.18 |
신비를 간직한 예술품, 백제 금동대향로 — 발굴 과정과 세계 유물과의 비교 (1) | 2025.05.08 |
우리나라에 분포된 고인돌의 독자성과 유네스코 등재 (1) | 2025.05.05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직지심체요절과 박병선 박사 (1)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