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구려 멸망 후 세워진 발해와 역사 속 소멸 과정
고구려가 멸망한 후, 고구려 유민들은 대외적으로 흩어졌지만, 이 중 일부는 대조영을 중심으로 결집하여 새 왕국을 건설했다. 바로 발해(渤海, 698~926)다. 발해는 고구려의 계승을 표방하며 동아시아에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지만, 10세기 초 결국 멸망하고 역사에서 사라지게 된다. 특히, 백두산 화산 폭발이 발해의 쇠퇴 및 소멸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학설이 주목받고 있다.
1. 발해의 건국과 발전
가. 발해의 건국 (698년)
- 668년,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하자, 많은 고구려 유민들이 만주 지역과 연해주 방면으로 이동했다.
- 고구려 장수 출신인 대조영은 말갈족과 함께 세력을 규합하여 698년, 동모산(현재 중국 길림성 돈화시)에서 발해를 건국했다.
- 당나라는 이를 ‘발해국(渤海國)’으로 인정했고, 이후 발해는 고구려의 후계 국가로 성장해 나갔다.
나. 발해의 전성기 (무왕~선왕 시기)
- 무왕(719~737): 당나라와 적대 관계를 유지하며 신라와 대립, 동아시아에서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
- 문왕(737~793): 당나라와 외교 관계를 회복하고 불교 문화를 발전시킴
- 선왕(818~830): 최대 영토 확장,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 불릴 정도로 강성
이 시기 발해는 고구려의 문화와 제도를 계승하면서도 말갈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과 융합하여 강력한 다민족 국가로 성장했다.
2. 발해의 멸망 과정
가. 내적 요인: 왕권 약화와 정치적 불안정
- 선왕 사후, 왕위 계승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면서 정치적으로 불안정해졌다.
- 중앙 귀족들의 권력 다툼이 격화되며 국력 약화로 이어졌다.
나. 외적 요인: 거란(요나라)의 압박
- 10세기 초, 중국 북방에서 거란족이 급부상하며 ‘요(遼, 916~1125)’를 건국.
- 926년, 거란의 야율아보기가 발해를 공격하여 수도 **상경 용천부(현재 중국 길림성 지역)**를 함락, 발해는 멸망했다.
- 일부 유민들은 고려로 망명하거나 거란에 흡수되었으며, 일부는 발해 부흥운동(대발해국, 정안국)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3. 백두산 화산 폭발과 발해 멸망의 관계
가. 백두산 대분화 (946년경)
- 발해가 멸망한 지 약 20년 후인 946년경, 백두산에서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화산 폭발이 발생했다.
- 이 화산 폭발은 ‘천년 대분화(Millennium Eruption)’로 불리며,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초대형 화산 폭발이었다.
- 화산재는 한반도, 만주, 일본까지 퍼졌으며, 특히 일본의 후지와라 기록에도 거대한 화산재가 도달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나. 백두산 화산 폭발이 발해에 미친 영향
- 발해의 주요 거주지였던 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을 가능성이 크다.
- 화산 폭발로 인해 기후 변화, 농업 붕괴,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했을 수 있다.
- 거란이 발해를 공격할 당시(926년), 이미 백두산 화산 활동이 활발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발해의 국력이 약화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4. 결론: 발해 멸망의 복합적 원인
발해의 멸망은 단순히 거란의 침공 때문만이 아니라, 내부 정치적 불안정, 외부의 거란 압박, 자연재해(백두산 화산 폭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특히, 백두산 화산 폭발이 발해 멸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크며, 이는 기후 변화 및 경제적 혼란을 초래하여 발해의 최후를 가속화했을 것이다.
▶발해는 단순한 고구려 계승국이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강대국이었으며, 자연재해와
외세 침입으로 인해 사라진 비운의 역사적 국가였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불렀던 "발해를 꿈꾸며"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하고 사라지지 않았다면 동아시아 패권과
역사는 또 어떻게 됐을지 모를일입니다.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단고기 속 고조선의 역사 (1) | 2025.03.13 |
---|---|
고구려 삼족오의 의미와 유래 (0) | 2025.03.12 |
청룡.주작.백호.현무 사신과 고구려 (1) | 2025.03.11 |
유리왕과 황조가 (1) | 2025.03.07 |
신라의 이야기 처용과 역신 (1) | 2025.03.06 |